전라 북도 권 산행 [가~사]

2016. 07. 07. 부안군 변산반도 폭포기행

하야로비(조희권) 2016. 7. 8. 11:23

 

 

 

 

어수대폭포.

 

 

 

 

변산반도 어수대폭포.

 

변산반도의 폭포를 다 구경하려면 이틀 이상의 시간이 필요할것 같아

오늘 일정에 맞게 몇군데만 돌아 보려한다.

(어수대 폭포는 주차장에서 보는걸로 하고 직소폭포 방향으로 차를 돌린다).

 

 

 

 

① 어수대폭포.

 

 

 

 

 

 

쇠뿔바위.

 

 

 

어수대폭포를 지나며 올려다본 쇠뿔바위.

 

 

 

 

 

 

 

 

 

 

② 봉래구곡의 작은폭포.

 

 

 

 

 

 

 

 

 

 

 

 

 

 

③ 선녀탕과 선녀폭포.

 

 

 

 

 

 

④ 직소폭포 1

신성봉에서 발원한 직소천이 대소폭포를 만들고 그 아래 직소폭포를 만들었다.

시간관계상 대소폭포는 가지 못했다. 

 

 

 

제1 직소폭포.

 

 

 

 

 

 

 

 

 

 

제2 직소폭포.

 

 

 

 

 

 

 

 

 

분옥담 그리고 제3 직소폭포.

 

 

 

 

 

 

오늘 폭포기행에 동행해준 나홀로 님.

 

 

 

봉래구곡의 인공호수.

 

 

 

 

 

 

 

 

 

인장암. 코끼리바위라고 도 한답니다.

 

 

 

 

 

⑤ 선계폭포(일명 성계폭포).

남대봉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성게폭포를 만들었다.

높이가 약60m랍니다.

 

 

 

선계폭포 하단.

 

 

 

선계폭포(성계폭포) 상단.

한 화면에 다 담을수 없다.

 

 

 

 

 

 

 

 

 

 

 

 

우동저수지에서 보는 선계폭포(성계폭포).

 

 

 

 

 

솔섬.

도청리 해변에서의 조망.

 

 

 

 

 

 

 

 

 

 

 

 

 

 

 

솔섬에서 보는 수락폭포.

 

 

 

 

 

 

 

 

 

솔섬의 소나무.

 

 

 

 

 

 

 

 

 

 

 

 

 

 

 

 

 

 

 

 

 

 

 

 

 

 

임도 끝지점에서 보는 수락폭포.

갑남산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2개의 골짜기를 만들고 오른쪽 골짜기에

수락폭포가 있다. 60여m의 높이를 자랑한다.

 

 

 

 

 

 

⑥ 수락폭포.

 

 

 

폭포하단.

 

 

 

폭포중단부.

 

 

 

폭포상단부.

 

 

 

폭포 하단.

 

 

 

폭포중단.

 

 

 

수락폭포 역시 한 화면에 다 담을수 없다.

(16mm이하의 광곽랜즈라면 다 담을 수 있겠지...)

 

 

 

갑남산 능선의 암봉.

 

 

 

 

 

 

 

 

⑦ 갑남산 도청폭포.

 

 

도청폭포 3단과 4단.

 

 

 

도청폭포 2단과 3단.

 

 

 

도청폭포 1단.

 

 

 

 

 

 

폭포 상단의 와폭.

 

 

 

 

 

 

 

 

 

 

 

 

 

 

⑧ 벼락폭포.

 

 

군관봉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벼락폭포를 타고 흐른다.

 

 

 

가장 접근하기 어려웠던 벼락폭포.

높이가 50여m랍니다.

 

 

 

 

 

 

 

 

 

벼락폭포 하단.  ↑ ↓

 

 

 

 

 

 

벼락폭포 상단.

 

 

 

벼락폭포 하단.

 

 

 

 

 

 

벼락폭포 상단.

 

 

 

 

 

 

 

 

 

 

나홀로님이 찍은사진.

 

 

 

 

 

 

 

 

 

 

변산온천 입구 조망대에서 보는 벼락폭포.

 

 

 

 

 

 

군관봉과 벼락폭포.